로케트밧데리 인천대리점

히터에서 찬 바람이 나온다면? 겨울철 히터 관리 방법 본문

자동차 이야기

히터에서 찬 바람이 나온다면? 겨울철 히터 관리 방법

만화상사 2022. 12. 19. 23:02

 


 

안녕하세요. 만화상사입니다.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면서

날이 점점 더 추워지고 있습니다.

 

겨울 내내 자동차 운행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은

바로 히터가 아닐까 싶은데요.

 

추운 겨울 날씨에 바깥에 있다 보면

자동차 히터의 따뜻한 바람이

더욱 간절해집니다.

 

오늘은 겨울철 자동차 히터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시간이 한참 지나도

실내가 좀처럼 따뜻해지지 않는다면

자동차 예열이 덜 되었기 때문입니다.

 

시동을 걸자마자 히터를 틀면

엔진으로 가야 할 열이 새어나가

오히려 따뜻해지기까지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습니다.

 

추울수록 조금 더 기다렸다가

5분 정도 주행하고 난 다음

계기판의 냉각수 온도계 바늘이

최소 4분의 1 이상 올라갔을 때

히터를 켜는 것이 좋아요.

 

 

 

충분히 주행했는데도

계속 찬 바람이 나온다면

냉각수가 부족하지 않은지

점검해주세요.

 

냉각수가 부족하면

히터가 열을 얻지 못하기 때문에

따뜻한 바람이 나오지 않습니다.

 

냉각수는 엔진이 과열되지 않도록

엔진 주변을 돌면서

엔진을 식혀주는데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시기에는

냉각수가 얼지 않도록 막아주는

부동액 또한 필요합니다.

 

평상시 냉각수의 양을 항상 점검하고,

혹시나 냉각수가 새지 않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냉각수가 충분한데도

시동을 건지 한참이 지나도록

계기판의 냉각수 온도계 바늘 위치가

C(Cold)와 H(Hot)의 정중앙에

위치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정비소에 들러

서모스탯의 작동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밸브가 열리고 닫힘으로써

엔진의 온도를 일정하게

조절해주는 것이 서모스탯입니다.

 

차가 정차해 있을 때는

더운 바람이 나오고

주행 중에는 찬 바람이 나오는 경우,

서모스탯 고장일 확률이 높습니다.

 

 

 

히터 통풍구에서 증기가 나오는 것은

높은 실내 습도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 내부 순환 모드로 전환하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내부 순환 모드는

차량 내부의 공기로만

순환시키는 방식을 뜻합니다.

 

또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실내 공기의 습도가

점점 낮아지기 때문에

결국 증기도 사라집니다.

 

 

 

히터에서 곰팡이 냄새가 난다면

필터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필터가 오래되면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기 쉽고,

천식이나 비염 같은 질환의

원인이 되니다.

 

자동차 필터는 6개월마다,

혹은 주행거리 1만 2,000km 당

한 번씩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