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인천자동차배터리교체추천
- 미추홀구배터리교체
- 숭의동배터리교체
- 인천자동차배터리
- 인천배터리교체
- 인천미추홀구밧데리교체
- 관교동배터리교체
- 문학동자동차배터리
- 학익동배터리교체
- 학익동자동차밧데리
- 주안동밧데리교체
- 자동차관리
- 인천밧데리교체추천
- 문학동밧데리교체
- 인천로케트밧데리대리점
- 주안동배터리교체
- 인천밧데리교체
- 미추홀구자동차밧데릭
- 숭의자동자동차배터리
- 도화동배터리교체
- 미추홀구밧데리교체
- 인천중구배터리교체
- 학익동밧데리교체
- 숭의동밧데리교체
- 인천로케트밧데리직영점
- 인천로게트밧데리
- 도화동밧데리교체
- 숭의동자동차밧데리
- 용현동배터리교체
- 용현동밧데리교체
- Today
- Total
로케트밧데리 인천대리점
갑자기시동이걸리지않는다면? 초보운전자를 위한 TIP 본문
안녕하세요. 만화상사입니다.
바쁜 아침, 갑자기 차 시동이 걸리지 않아
난감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특히 아직 차에 대한 경험이 많지 않은
초보운전자라면 문제의 원인을 바로 찾지 못해
크게 당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차 시동이 걸리지 않은 다양한
원인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열쇠를 꽂고 돌리던 과거와 달리,
요즘에는 대부분 스마트키를 활용하고 있는데요.
스마트키를 지니고 차에 탑승한 후
시동 버튼만 누르면 시동이 걸리기 때문에
매우 편리합니다.
자동차는 스마트키의 전파 세기를 감지해,
차 내부에 스마트키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데요.
그래서 스마트키가 운전석과 너무
멀리 떨어져 있으면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우선 스마트키의 위치를 확인해 보세요!
스마트키가 운전석 가까이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스마트키가 방전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때는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요.
손가락 대신 스마트키로 시동 버튼을 눌러보세요.
스마트키에 내장된 칩과 스타트 버튼에 내장된
안테나가 통신하는 원리를 이용한거랍니다.
그렇다면 방전된 스마트키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스마트키를 분리한 후 규격에 맞는
건전지를 구입해 교체해주면 되는데요.
하지만 스마트키 내부의 회로는 정전기에 약하기 때문에
서비스 센터에 찾아가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시동을 걸 때는 브레이크 페달을 꼭 밟고
시동 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하지만 초보운전자의 경우 이 사실을
잊어버리고 실수할 수 있는데요.
그래서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내가 지금 브레이크 페달을 꾹 밟고 있는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더라도
시동 버튼을 10초 동안 길게 누르면
시동이 걸리기도 하지만
이는 제동 등 퓨즈 고정과 같은
비상상황에 사용하는 방법이므로
올바른 운전 습관을 가지도록 합니다.
스마트키도 제 위치에 있고,
브레이크 페달도 밟았는데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변속레버의 위치를 확인하세요!
시동을 걸 때 변속레버는
주차 위치인 P에 있어야 합니다.
중립 위치인 N에서도 시동은 걸리지만
잘못하면 갑자기 차가 움직여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자동차 배터리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시동이 걸리지 않습니다.
그래서 배터리의 방전 상태, 단자 연결 상태를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단자에 이물질이 있다면 충전이 잘 되지
않을 수 있으니 주기적으로 청소하고
윤활유를 발라 오염을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겨울철에는 방전 속도가 빨라져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온이 낮아지면 배터리의 성능은 저하되고,
온열장치를 많이 사용하면서 배터리 사용량이
늘어나기 때문인데요!
긴급한 상황에서 갑자기 배터리가 방전되었다면
다른 차량의 배터리나 발전기를 연결하여
시동을 걸어주면 되는데 이는 응급 상황에만
사용하는 것이 좋고,
긴급출동지원센터나 가까운 서비스센터 등에 연락하여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운전 중 갑자기 차유리가 깨지는 원인 (0) | 2021.01.28 |
---|---|
겨울철 자동차 관리의 0순위는 바로 타이어 공기압! (0) | 2021.01.27 |
자동차 정기검사와 종합검사 무엇이 다를까? (0) | 2021.01.25 |
자동차, 너무 오래 혼자 두지 마세요! (0) | 2021.01.23 |
자동차 아끼다 역효과 발생하는 경우! (0) | 2021.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