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주안동밧데리교체
- 관교동배터리교체
- 인천중구배터리교체
- 문학동밧데리교체
- 인천로케트밧데리직영점
- 학익동자동차밧데리
- 자동차관리
- 학익동배터리교체
- 인천밧데리교체
- 인천자동차배터리교체추천
- 미추홀구배터리교체
- 문학동자동차배터리
- 주안동배터리교체
- 인천미추홀구밧데리교체
- 인천자동차배터리
- 인천로케트밧데리대리점
- 인천배터리교체
- 용현동밧데리교체
- 도화동밧데리교체
- 용현동배터리교체
- 인천로게트밧데리
- 숭의동자동차밧데리
- 숭의동배터리교체
- 도화동배터리교체
- 미추홀구밧데리교체
- 인천밧데리교체추천
- 숭의동밧데리교체
- 미추홀구자동차밧데릭
- 학익동밧데리교체
- 숭의자동자동차배터리
- Today
- Total
로케트밧데리 인천대리점
여기에 주차해도 되나요? 주차구역 궁금증 본문
안녕하세요. 만화상사입니다.
요즘은 차를 가지고 나가면 주차할 공간을 찾지 못해
애를 먹는 경우가 많은데요.
일본은 자동차 등록 시 주차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면
등록을 거절할 만큼 주차공간을 사회적으로도
중요하게 여긴다고 합니다.
무작정 빈 공간이라고 주차하면
과태료가 부과되며, 상황에 따라 견인될 수도 있고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도 있는데요.
오늘은 주차를 해도 되는 곳,
해서는 안 되는 곳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파트나 대형마트 주차장을 보면 입구에
가까운 곳에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이 있습니다.
주차공간도 넓고 입구와 가깝죠.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은 보행이 불편한 장애인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일반인이 이 공간에 주차를 해도 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은 차량에
'장애인 전용주차장 주차 가능 표지'가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보행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이 탑승한 경우에만
주차를 할 수 있습니다.
표지가 붙어 있더라도 보행 장애를 겪는 사람이 타고
있지 않으면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됩니다.
백화점, 대형마트 등 대형 주차장을 보면
여성 운전자를 위한 여성 전용 주차구역도 있는데요.
이 구역은 범죄예방과 동시에 주차가 서투르거나
임신 중인 여성을 배려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다면 남성 운전자는 주차를 하면 안 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여성 전용 주차구역은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처럼
지정 대상만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닌
배려와 양보를 권장하는 공간으로 별도의 벌금이
부과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배려와 양보를
권장하는 공간인 만큼 비워두는 미덕이 필요하겠죠?
대형마트나 관공서, 아파트 주차장 한쪽에 마련되어 있는
전기차 전용 주차 구역은 이제 굉장히 흔하게 볼 수 있죠.
주차공간이 가득 차고 전기차 충전 구역만 자리가 비어 있다면
일반차량이 주차해도 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전기차 충전 구역에 일반 차량이 주차하거나
물건을 쌓아 둘 경우 벌금이 부과됩니다.
전기차 충전 구역은 주차공간이 아닌
임시 장소라고 생각하면 좋습니다.
주택가 골목을 지나다 보면 번호가 쓰여 있는
주차구역을 본 적이 있으실 텐데요.
이는 거주자 우선 주차 제도로 주차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주택가 이면도로 등에 주차획을 만들어
사용료를 받아 거주자가 편리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개인이 사용료를 내고 이용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다른 차량이 해당 공간을 이용해서는 안되죠!
이 외에도 잠깐이라도 주차를 한다면
과태료 대상이 될 수 있는 구역들이 있습니다.
1. 화재 시 신속한 진압을 위해 소화전 주변 5m를 비워주세요.
소방시설 주차로 화재 진압이 지연되면 큰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소화전 주변은 잠깐이라도 절대 주차를 하면 안 됩니다.
2. 보행자 안전을 위해 교차로 모퉁이 5m 이내를 비워주세요.
도로 모퉁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다면 회전 차량 운전자와 길을
건너는 보행자 모두 위험합니다. 잠시 정차를 한다면
가급적 교차로에 멀리 떨어져서 정차를 해야 합니다.
3. 승객의 안전을 위해 버스정류소 10m 이내를 비워주세요.
버스 정류장 인근 주차 역시 버스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정류장 인근 주차 차량 때문에 행인을
보지 못하고 버스가 진입하면 큰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요.
4. 보행자를 위해 횡단보도 10m이내를 비워주세요.
길을 건너기 위해서는 도로 상황을 잘 살피고 건너야 합니다.
횡단보도 인근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다면 보행자의 시야 확보를
방해하게 됩니다. 특히 키가 작은 어린이는 운전자에게도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횡단보도에서
멀리 떨어져 정차를 해야 합니다.
'자동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휴.. 또 방전? 겨울에 유독 방전이 잘되는 배터리, 관리방법은? (0) | 2021.01.05 |
---|---|
갑자기 배터리가 방전되었다?! 이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0) | 2020.12.31 |
겨울철 차 안! 점점 건조해지는 내 피부를 지키는 방법 (0) | 2020.12.29 |
겨울철 타이어 관리하는 방법은? (0) | 2020.12.28 |
겨울 운전의 불청객, 성에를 제거해봅시다! (0) | 2020.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