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인천자동차배터리교체추천
- 인천밧데리교체
- 학익동배터리교체
- 인천배터리교체
- 미추홀구배터리교체
- 관교동배터리교체
- 인천로게트밧데리
- 미추홀구자동차밧데릭
- 용현동배터리교체
- 도화동밧데리교체
- 인천자동차배터리
- 학익동밧데리교체
- 문학동자동차배터리
- 인천미추홀구밧데리교체
- 미추홀구밧데리교체
- 문학동밧데리교체
- 인천밧데리교체추천
- 숭의동자동차밧데리
- 숭의자동자동차배터리
- 인천중구배터리교체
- 주안동배터리교체
- 도화동배터리교체
- 용현동밧데리교체
- 인천로케트밧데리대리점
- 인천로케트밧데리직영점
- 숭의동밧데리교체
- 학익동자동차밧데리
- 숭의동배터리교체
- 주안동밧데리교체
- 자동차관리
- Today
- Total
로케트밧데리 인천대리점
갑자기 배터리가 방전되었다?! 이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본문
안녕하세요. 만화상사입니다.
겨울에는 자동차 배터리가 방전되어
갑자기 시동이 걸리지 않는 일이 많아
미리 점검하고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평소에 관리를 잘해주면 배터리 수명이
오래갈 수 있는데요.
먼저 블랙박스 등 배터리를 소모시키는
전력을 차단합니다.
주차 시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블랙박스를 활성화하면 배터리가
충전되지 않고 전력만 소비되기 때문에
방전 가능성이 높아지는데요.
시동을 끈 후에는 차량 내/외부 조명 및 전기장치의
전원을 끄거나 전력 사용 시간을 줄이고
블랙박스 사용 설정을 배터리 최저 전압 12.1V 이상으로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배터리 연결단자의 주변이
지저분할 경우 접촉 불량으로 인한
누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성능 저하 방지를 위해 배선 및 연결단자
부분은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차량을 운행하다 보면, 배터리 주변에 산화된 납의
일종으로 하얀 가루가 발생합니다.
배터리 단자는 납으로 되어 있는데, 단순히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기도 하고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황산 가스와 납이
반응하여 부식이 되면서 하얀 가루를 만들어
단자 옆에 눌어붙게 됩니다.
이것이 공기 중에 날리면 사람에게는 발암물질이 되고,
배터리에는 접촉 불량을 일으켜 배터리 방전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배터리가 방전되기 쉬운 겨울,
방전을 막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우선 최소 일주일에 한 번은 시동을 거는 것입니다.
시동을 걸 때는 배터리의 역할이고
시동이 걸리고 나서는 차량 내의 발전기가 차량 내
전기/전자 장비에 들어갈 전기를 만듭니다.
이렇게 주행 중에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는 일부만 주행에 사용되고
나머지는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원리이죠.
그러나 이렇게 충전되는 에너지는 그렇게 크지 않기 때문에
시동을 켜지 않고 차를 계속 두면 충전한 배터리가 방전됩니다.
그래서 차량을 오래 세워 두게 될 경우에
반드시 시동을 걸어보아 배터리가 충전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 낮은 기온 때문에 배터리가
갑자기 방전되는 경우도 있는데요.
배터리 안의 전해질 액체가 25도 이상의
온도에서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기 때문에
그 이하의 온도에서는 배터리 성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겨울철엔 실내주차장이나 지하주차장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배터리 보온을 위해 배터리 보호 커버 등을
덮어두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갑자기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초보운전자일수록 보험사가 좋습니다.
보험사 긴급출동은 보험 가입 때
비용을 부담하기 때문에 무료로 받을 수 있어요.
단 보험사별로 연 4회 정도로 무료 서비스 제한을
두고 있으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배터리를 자주 점검하거나 배터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량용 보조배터리 등을 구비해두는 것도 좋습니다.
갑작스러운 방전 상황에 보조 배터리를 이용해
시동을 걸 수 있죠.
요즘은 셀프로 배터리를 교체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는데요.
배터리를 교체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바로 자동차 배터리의 종류인데요.
자동차 배터리는 +단자가 왼쪽에 위치하는지,
오른쪽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L타입과 R타입으로 나뉩니다.
배터리는 엔진과 각종 부품의 위치에 따라
위치가 정해지는데, 엔진이 조수석 쪽에 있다면
배터리는 엔진과 멀어야 하기 때문에
운전석 쪽에 있게 되고, 이때 배터리 +단자가 왼쪽에
있기 때문에 L 타입이 되는 원리입니다.
자신의 자동차가 어떤 타입의 배터리를 사용하는지
알아보고 이에 맞는 것을 구매해야 합니다.
배터리 방전으로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땐 점프 스타트 방법을 이용하면
응급조치로 시동을 걸 수 있습니다.
부스터 케이블을 이용해 내 차량과
상대 차량의 배터리 극을 맞춰 연결하면 시동을 걸 수 있습니다.
시동을 건 후에는 안전하게 케이블을 분리한 후
차량을 운전해 정비소에서 배터리를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노우체인종류 사슬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0) | 2021.01.07 |
---|---|
에휴.. 또 방전? 겨울에 유독 방전이 잘되는 배터리, 관리방법은? (0) | 2021.01.05 |
여기에 주차해도 되나요? 주차구역 궁금증 (0) | 2020.12.30 |
겨울철 차 안! 점점 건조해지는 내 피부를 지키는 방법 (0) | 2020.12.29 |
겨울철 타이어 관리하는 방법은? (0) | 2020.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