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인천밧데리교체추천
- 인천로케트밧데리직영점
- 미추홀구밧데리교체
- 인천밧데리교체
- 숭의동밧데리교체
- 문학동자동차배터리
- 도화동배터리교체
- 미추홀구자동차밧데릭
- 인천로게트밧데리
- 미추홀구배터리교체
- 숭의자동자동차배터리
- 자동차관리
- 학익동배터리교체
- 주안동밧데리교체
- 인천자동차배터리
- 인천배터리교체
- 숭의동자동차밧데리
- 인천미추홀구밧데리교체
- 관교동배터리교체
- 용현동밧데리교체
- 인천자동차배터리교체추천
- 주안동배터리교체
- 도화동밧데리교체
- 숭의동배터리교체
- 용현동배터리교체
- 문학동밧데리교체
- 학익동자동차밧데리
- 학익동밧데리교체
- 인천로케트밧데리대리점
- 인천중구배터리교체
- Today
- Total
로케트밧데리 인천대리점
알쏭달쏭 자동차 계기판 경고등 정리해보아요! 본문
안녕하세요. 만화상사입니다.
운전석에 앉아 차 시동을 켜면
계기판에 다양한 표시들이 뜹니다.
평소 주행 중이라면 볼일이 없는 표시들이 많아
무심코 지나치기 마련인데요.
이 중에서도 경고등은 일반적으로
주의나 위험을 알리는 표시가 많아
의미를 숙지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경고등
1. 에어백 경고등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에어백 경고등이
약 6초간 점등됩니다.
이는 에어백 장치를 구성하는 충돌 센서,
전복 센서, 에어백 제어 모듈, 에어백모듈 및
프리텐셔너 시트벨트 상태를 점검 중인 것으로
문제가 없으면 다시 소등됩니다.
만약 6초 후에도 계속 점등되어 있거나
주행 중 경고등이 점등되면 에어백 장치 이상
신호이므로 정비소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안전벨트 미착용 경고등
가장 흔하게 접하는 경고등 중 하나입니다.
좌석에 앉은 후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경고등과 경고음이 작동합니다.
차량마다 다르지만 보통 시속 9km/h가 넘어가면
경고등이 깜빡이며, 20km/h이상 주행 시에는
경고음이 울리게 됩니다.
3. 브레이크 경고등
초보운전자들이 가장 실수하는 것 중
하나로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지 않은 채
주행하는 행동이 있습니다.
주차 브레이크를 잠그면 해당 경고등이 뜨며
해제한 상태에서 시동을 켠 경우에는 3초 후
해당 신호가 소등되는데요.
만약 엔진 시동 후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했음에도 불구하고 경고등이 켜져 있다면,
브레이크 액량을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주행 중 이 경고등이 켜졌다면
브레이크 계통이 이상이 있다는 신호이기 때문에
반드시 안전한 곳에 정차해야 합니다.
4. ABS 경고등
자동차가 급제동할 때
바퀴가 잠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특수 브레이크 기능과 관련된 경고등입니다.
첫 시동을 켜면 3초간 점등되었다가
소등되는데요. 만약 해당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면 3초가 지나도 계속 켜져 있기 때문에
가까운 정비소를 찾아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5. 전자 파킹 브레이크(EPB) 경고등
EPB는 전자 파킹 브레이크로
차량이 서 있을 때는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잠겨 있다가, 출발할 때는 가속 페달만
밟으면 자동으로 풀리는 장치인데요.
해당 경고등은 문제가 발생할 때만 켜집니다.
6. 긴급 제동 시스템(AEB) 경고등
AEB는 긴급제동 시스템으로,
전방 추돌이 예상될 경우 차량이나 보행자를 인식해
감속하고 피해를 경감시키는 안전 시스템입니다.
해당 경고등은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만 켜집니다.
7. 전동 파워 스티어링(MDPS) 경고등
MDPS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으로,
스티어링 기어 부분에 장착된 모터의 구동력으로
조향력을 향상한 것이 특징입니다.
해당 경고등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만
점등되며 시동을 켜고 3초가 지나도 해당 경고등이
꺼지지 않는다면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8. 엔진 경고등
이 경고등은 엔진의 정상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엔진 전자제어 장치나 배기가스 제어와
관련 있는 각종 센서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점등됩니다. 또한 연료탱크, 연료필터 등 연료공급장치에
누유가 발생해도 점등되는데요.
해당 경고등이 켜지면 엔진 관련
부분을 점검받아야 합니다.
9. 충전 경고등
배터리 방전 또는 팬 벨트가 끊어져
충전장치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점등되는데요.
해당 경고등이 점등된 채로 주행하면
배터리 방전 외에 오버히트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간혹 해당 경고등이 켜지지 않아도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팬 벨트의 장력이 부족한 것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10 엔진 오일 압력 경고등
장시간 엔진오일을 교환하지 않으면
볼 수 없는 경고등입니다.
주로 엔진 오일 부족 등으로 유압이 낮아지면
점등되는데요. 이 경우 정비소를 방문해
엔진 오일량 점검 및 보충을 해야 하며
경고등이 켜진 채로 계속 주행할 경우
엔진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11. 연료 부족 경고등
연료가 부족하면 점등되는 경고등입니다.
12. 저압 타이어 경고등/TPMS 경고등
TPMS는 타이어 공기압 측정 시스템의 약자로
타이어 압력과 온도 데이터를 측정해 차량 계기판으로
정보를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타이어의 압력과
온도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는데요.
해당 경고등은 시동을 켜고 3초간
점등되며 문제가 발생할 경우 약 1분간
점멸 후 점등됩니다.
또한 타이어 공기압이 매우 낮을 경우에도
점등되는데요. 이 경우 타이어 공기압 측정 및
타이어 압력을 적정 압력까지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13. 연료필터 수분 경고등(디젤 엔진)
해당 경고등은 디젤 엔진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보통 시동을 켠 후 몇 초 내로 소등됩니다.
하지만 연료 필터 내 수분량이 허용치 이상일 경우
시동 상태에서 경고등이 계속 점등 상태가 되는데요.
연료 필터 수분 경고등이 점등된 상태로
계속 운전하게 되면 차량 속도 및 엔진 회전수에 악영향을 미치며
연료 분사장치 및 엔진 부품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14. 매연 필터 장치(DPF) 경고등(디젤 엔진)
매연 필터 장치는 DPF로 부르기도 하는데
디젤 엔진에만 적용됩니다.
매연 필터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면 켜지며,
변속기 2단 이상으로 두고 60km/h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면서 1500-2500rpm으로 약 25분 동안
주행하면 경고등이 다시 꺼지는데요.
만약 해당 조치를 취해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정비소를 방문해야 합니다.
15. 통합경고등
'주의'를 알리는 도로 표지판과 같은 모양으로,
타이어 저압 경고, 서비스 알림,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워셔액 부족 경고, 후측방 경보 시스템 오류,
긴급제동 시스템 고장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면
점등됩니다. 정확한 고장원인은 LCD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다는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표시등
1. 차체 자세 제어 장치(ESC) 작동 정지 표시등
ESC는 차체 자세 제어 장치로 ABS 기능과 더불어
엔진토크까지 제어해 위급 상황에서
차량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안전 기능입니다.
운행 중 이 경고등이 켜지면
문제가 발생했다는 신호입니다.
2. ECO 표시등, 스포츠 드라이브 모드 표시등
드라이브 모드 중 에코 모드 및 스포츠 모드가
작동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간혹 스마트 모드까지 있는 경우
SMART 문가가 점등되기도 합니다.
3.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 표시등(디젤 엔진)
공회전 제한 시스템은 신호 대기 상황이거나
정차 중일 때 엔진을 일시 정지해 연비를 향상하고
배기가스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는데
해당 표시등이 켜지면 ISG기능 작동 상태를 의미합니다.
4. 전조등 상향표시등
전조등 점등 상태에 조명 스위치를
위로 두거나 조명 스위치를 운전자 방향으로
당기며 상향등이 점등되면서
해당 표시등이 점등됩니다.
5. 조명 점등 표시등
미등 또는 전조등이 켜져 있을 때 점등됩니다.
6. 안개등 표시등
안개등이 켜면 해당 표시등이 켜집니다.
7. 예열 표시등(디젤 엔진)
만약 주행 중 해당 표시등이 계속 켜진다면
자동 변속기 이상을 의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방치할 경우 차량 화재 위험이 있는데요.
또한 10초 이상 예열한 후에도 예열 표시등이 켜져 있다면
예열 관련 전기 장치에 문제 또는 엔진 제어 장치 고장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8. 크루즈 표시등
크루즈 컨트롤 기능을 사용하면 점등되는 표시등입니다.
9. 경사로 저속 주행(DBC) 표시등(녹색)/경고등(황색)
이 기능은 가파른 내리막길에서 안전한 주행을 위해
10km/h 이하로 주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요.
이 기능이 정상 작동하면 녹색 표시등이 점등되며,
브레이크를 밟고 차량이 정차하면 자동으로 소등됩니다.
만약 주황색 표시등이 점등되었다면
고장 가능성이 있어요.
10. 자동 정차 기능(AUTO HOLD) 표시등
주행 중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차량이 멈추면
자동 정차 기능이 작동되면서 표시등이
녹색으로 변하는데요.
만약 주황색 조명이 점등되면 해당 기능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자동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고차 구입 후 꼭 해야 하는 것들 (0) | 2021.02.28 |
---|---|
임신 중 운전할 때 주의사항 (0) | 2021.02.27 |
어려운 수동운전,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을까? (0) | 2021.02.24 |
달라지는 도로교통법 위반하지 않도록 주의! (0) | 2021.02.23 |
자동차 연비 높이는 방법은? (0) | 2021.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