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숭의동자동차밧데리
- 인천로게트밧데리
- 미추홀구자동차밧데릭
- 주안동밧데리교체
- 학익동배터리교체
- 관교동배터리교체
- 미추홀구배터리교체
- 인천로케트밧데리대리점
- 숭의동배터리교체
- 문학동밧데리교체
- 숭의자동자동차배터리
- 인천밧데리교체추천
- 인천자동차배터리
- 주안동배터리교체
- 인천로케트밧데리직영점
- 숭의동밧데리교체
- 용현동배터리교체
- 용현동밧데리교체
- 도화동배터리교체
- 인천중구배터리교체
- 학익동자동차밧데리
- 학익동밧데리교체
- 인천자동차배터리교체추천
- 인천배터리교체
- 문학동자동차배터리
- 자동차관리
- 인천미추홀구밧데리교체
- 인천밧데리교체
- 미추홀구밧데리교체
- 도화동밧데리교체
- Today
- Total
로케트밧데리 인천대리점
겨울용 타이어, 필수일까? 본문
안녕하세요. 만화상사입니다.
윈터 타이어는 눈길이나 비안길은 물론
영상 7도 이하의 노면 안전에 최적화된
타이어를 말합니다.
표면에 미세한 기포가 많은 발포 고무로 만들며,
고무를 부드럽게 하는 고무 합성물(실리카 컴파운드)이
일반 타이어보다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극한의 낮은 기온에서도 딱딱하게 굳지 않아
부드럽고 유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트레드(타이어에서 지면과 접촉하는 면) 구조도
더 복잡합니다. 눈길을 달리면서
스며든 물을 빠르게 빼낼 수 있게끔 타이어에 깊고
넓은 홈을 만들고, 미세 홈도 많이 새겨 넣어
접지력을 높인 것이 특이죠.
덕분에 차갑게 얼어붙은 도로나 빙판길,
눈길에서도 잘 멈추고, 코너링도 좋습니다.
윈터 타이어는 크게 알파인 계열과 노르딕계열로 구분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겨울용 타이어는 알파인 계열로
이해하면 쉽습니다.
알파인 계열 윈터 타이어는 고무가 단단하고
마모도가 낮아 내구성이 좋습니다.
시속 240-270km까지 고속 주행이 가능해
일반적인 도심이나 고속도로를 비롯해
우리나라 겨울철 도로 환경에 알맞죠.
노르딕 계열은 '스노우 타이어'라고도 불립니다.
고무가 무르고 마모도가 높아 내구성은 비교적
떨어지는 편입니다.
하지만 빙판길이나 눈길에서 제동거리를
효과적으로 단축하기 때문에 극한의 도로 상황이나
눈이 많이 덮인 산간 지역에서
사용하는 편힙니다.
윈터 타이어를 구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타이어에 새겨진 표시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먼저 타이어에 진흙과 눈을 뜻하는
M+S마크가 없다면 여름용 타이어입니다.
사계절 타이어에는 M+S 마크가 추가되죠.
나아가 겨울용 타이어에는 산과 눈꽃 모양이
추가가 됩니다. 트레드의 패턴을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다만, 패턴은 제조사별로 다르고,
또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구분하기 힘듭니다.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지만,
분명히 트레드 패턴에도 차이는 있습니다.
보통 타이어에서 세로로 깊게 파진 큰 홈을
그루브라고 하며, 트레드 표면ㅌ에 새겨진 잔물결
같은 미세한 홈을 커프, 혹은 사이프라고 부르는데,
제동력과 접지력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사계절용 타이어에는 이 커프가 타이어
접지면의 중앙에만 있거나 없죠.
여름용 타이어에는 이 커프가 전혀 없고,
빗물이 잘 빠지라고 그루브만 선명하게 있습니다.
윈터타이어는 제때 사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언제 윈터 타이어를 끼우고,
언제 다시 사계절용으로 바꿔야할까요?
먼저 서울을 포함한 우리나라
중부지방은 11월 말에서 12월 초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때는 날씨와 상관없이 윈터 타이어가
최상의 성능을 발휘하는 온도입니다.
눈이 많이 내리고 온도도 크게 내려가는
강원도 산간 지역은 이보다 앞선 10월 초나
중순부터 바꾸는게 좋고, 기온이 높은 남쪽 지역은
조금 더 늦어도 상관없습니다.
또한 타이어는 적당한 거리를 정속으로
달리면서 길들여야 최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한 시점보다 1-2주 전에 미리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 운전의 불청객, 성에를 제거해봅시다! (0) | 2020.12.25 |
---|---|
운전자들에게 쉴새 없이 말을 건네는 신호등, 그 의미는? (0) | 2020.12.24 |
추우면 추울수록 떨어지는 차 연비! 해결방법은? (0) | 2020.12.22 |
고속도로 나가기 전 초보 운전자가 알아야할 주의사항은? (0) | 2020.12.21 |
이젠 안녕! 앞으로 자동차에서 볼 수 없게 될 것들 (0) | 2020.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