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인천중구배터리교체
- 주안동밧데리교체
- 미추홀구배터리교체
- 숭의동자동차밧데리
- 인천배터리교체
- 학익동배터리교체
- 숭의동배터리교체
- 미추홀구밧데리교체
- 자동차관리
- 용현동배터리교체
- 인천로케트밧데리대리점
- 인천밧데리교체추천
- 문학동자동차배터리
- 인천미추홀구밧데리교체
- 도화동밧데리교체
- 숭의동밧데리교체
- 미추홀구자동차밧데릭
- 인천자동차배터리
- 인천자동차배터리교체추천
- 인천밧데리교체
- 도화동배터리교체
- 숭의자동자동차배터리
- 문학동밧데리교체
- 관교동배터리교체
- 인천로케트밧데리직영점
- 학익동자동차밧데리
- 인천로게트밧데리
- 용현동밧데리교체
- 주안동배터리교체
- 학익동밧데리교체
- Today
- Total
로케트밧데리 인천대리점
자동차에서 이상한 소리가 난다면? 고장의 신호? 본문
안녕하세요. 만화상사입니다.
자동차에서 평소와 다른 소리가
들린다면 귀 기울여 들어봐야 합니다.
소리로 부품 상태를 알 수 있기 때문인데요.
평소 들리지 않던 소리가 들린다면
자동차가 보내는 경고일 수 있습니다.
방지턱을 넘거나 노면이 좋지 않은 곳을 지날 때
평소와 다르게 '찌그덕' 소리가 난다면
서스펜션을 확인해보세요.
서스펜션은 노면 충격을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게 흡수하는 장치로
쇼크업소버, 스프링, 서스펜션 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쇼크업소버는 주행 중 진동에 의한
마찰열로 기능이 점차 떨어집니다.
이로 인해 내부의 오일이 유출되거나 부족해지면
노면의 진동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어요!
스티어링 휠을 돌릴 때
평소와 다른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면
조향 장치를 확인해보세요.
드라이브 샤프트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드라이브 샤프트는 엔진 구동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부품인데요.
드라이브 샤프트의 각 연결부에는
특수 그리스를 채운 고무 부츠를 끼우는데
이는 원활한 작동 및 부품 보호를 위해서입니다.
그런데 해당 고무 부츠가 파손되면 특수 그리스가
외부로 노출되어 연결 부위에 문제가 생기고,
이물질이 들어가면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합니다.
변속할 때 충격과 함께 소음이 난다면
변속기 오일을 확인하세요.
오일이 오래돼 점도가 낮아지거나 누수로
오일이 부족해지면 소음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한편 와이퍼 사용 시 발생하는 소음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인데요.
오래된 아이퍼 블레이드의 고무가 굳거나,
전면 유리의 유막 때문에 소음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오래된 와이퍼 블레이드는 교체하는 것이 좋고
유막은 전용 제품(유막제거제 등)을 사용하면 쉽게 없앨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끼이익'하는 소리가 난다면 브레이크 패드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소음의 정도가 중요한데요.
고성능 브레이크 시스템의 경우 제동 상황 및
대기 상태(온도 및 습도)에 따라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정상적인 것이며 소음의 정도가 크지 않습니다.
하지만 날카롭고 귀에 거슬리는 소리가 들린다면
주의가 필요한데요.
브레이크 패드가 닳아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브레이크 패드는 작동과 함께 마모되는 소모품이지만,
일정 수준 이상의 마모가 진행되면 제동력이 줄어들고
소음이 심해집니다.
브레이크 패드는 안전과 직결된 부품으로
소리가 들린다면 빠른 시간 안에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한편, 브레이크 패드는 마찰재 재질에 따라
간혹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마찰재 재질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금속 섬유를 사용하는 '세미 메탈릭'
금속 섬유와 유/무기계 섬유를 혼용하는 '로 스틸'
유/무기계 섬유만 사용하는 '논 스틸'입니다.
이처럼 세 가지 재질을 사용하는 이유는 각각의 장점 때문인데요.
브레이크 패드는 금속 성분이 많을수록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기 쉽지만 뛰어난 제동 성능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논 스틸의 경우 다른 마찰재와 비교해
소음과 진동이 적지만 제동 성능이 떨어지며
마모가 빠릅니다.
반대로 세미 메탈릭은 제동성능이 뛰어나며
마모도가 낮아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예방인데요.
자동차 제조사는 문제 발생을 미리 방지하고
자동차가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일정 주행거리마다 점검과 소모품 교체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운전자가 지켜야 할 안전수칙! 꼭 지켜야 해요! (0) | 2020.09.07 |
---|---|
태풍에 물 폭탄까지! 안전하게 운전하는 방법은? (0) | 2020.09.03 |
출근길 아침 차 시동이 걸리지 않아 당황스럽다면? (3) | 2020.08.29 |
언제 닥칠지 모르는 운전 중 긴급상황 어떻게 대처할까요? (0) | 2020.08.28 |
와이퍼 고무날 셀프로 교체할 수 있을까? (0) | 2020.08.27 |